맨위로가기

해남 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남 윤씨는 고려 문종 때 윤존부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 무관직을 역임하며 신흥 무장 세력으로 성장했으며, 중시조 윤광전이 강진에 터전을 마련하면서 본관을 해남으로 삼았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13명, 생원시 합격자 22명을 배출했으며, 윤선도, 윤두서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주요 집성촌은 전라남도 해남군과 강진군 일대에 분포하며,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과 해남윤씨 족보 목판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남 윤씨 - 윤영일
    윤영일은 성균관대, 서울대, 시라큐스대에서 행정학을 전공하고 행정고시 합격 후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민의힘 소속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해남 윤씨 - 윤소하
    윤소하는 전라남도 해남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을 거쳐 정의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보건복지위원회, 정치발전특별위원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등에서 활동하고 정의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며 어린이병원비 걱정제로법 등 다수의 법안을 발의했다.
해남 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해남 윤씨
성씨해남 윤씨
한자海南尹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해남군
시조윤선도 (尹善道)
중시조윤광전(尹光琠)
집성촌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강진군
인물윤복
윤의중
윤선도
윤신
윤인미
윤두서
윤덕희
윤용
윤지충
윤정현
윤추섭
윤영선
윤태현
윤근환
윤재명
윤관
윤영수
윤내현
윤재식
윤영달
윤성식
윤영일
윤종록
윤준
년도2015년
인구66,394명
비고해남윤씨 중앙 종친회

2. 역사

시조 '''윤존부'''(尹存富)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년) 때 살았던 사람이다. 시조(始祖) 윤존부(尹存富)부터 6세 환(桓)까지는 생존년대(生存年代), 관직(官職), 배위(配位), 세덕(世德) 등의 기록은 없고, 다만 휘(諱)자만 전해오고 있다. 개인적인 기록이 보인 것은 7세손 윤녹화(尹綠和)부터이다. 해남 윤씨는 신흥무장세력으로 성장하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중시조인 8세손 영동정공부군(令同正公府君) '''윤광전'''(尹光琠)이 고려 공민왕 때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내고 강진에 터전을 마련하면서 본관을 해남으로 하였다. 윤광전의 묘소는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에 있으며 음력 9월 9일에 향사한다.

2. 1. 고려 시대

시조 '''윤존부'''(尹存富)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년) 때 살았던 사람이다. 시조 윤존부부터 6세 환(桓)까지는 생존년대, 관직, 배위, 세덕 등의 기록은 없고, 다만 휘(諱)자만 전해오고 있다. 개인적인 기록이 보인 것은 7세손 윤녹화(尹綠和)부터이다. 해남 윤씨는 신흥무장세력으로 성장하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중시조인 8세손 영동정공부군(令同正公府君) '''윤광전'''(尹光琠)이 고려 공민왕 때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내고 강진에 터전을 마련하면서 본관을 해남으로 하였다. 윤광전의 묘소는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에 있으며 음력 9월 9일에 향사한다.

2. 2. 조선 시대

시조 '''윤존부'''(尹存富)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년) 때 살았던 사람이다. 시조(始祖) 윤존부(尹存富)부터 6세 환(桓)까지는 생존년대(生存年代), 관직(官職), 배위(配位), 세덕(世德) 등의 기록은 없고, 다만 휘(諱)자만 전해오고 있다. 개인적인 기록이 보인 것은 7세손 윤녹화(尹綠和)부터이다. 해남 윤씨는 신흥무장세력으로 성장하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중시조인 8세손 영동정공부군(令同正公府君) '''윤광전'''(尹光琠)이 고려 공민왕 때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내고 강진에 터전을 마련하면서 본관을 해남으로 하였다. 윤광전의 묘소는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에 있으며 음력 9월 9일에 향사한다.

3. 본관

해남 윤씨의 선대조고부군(先代祖考府君) 묘소(墓所)가 모두 전라남도 강진, 해남 관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해남 윤씨의 선대조고부군(先代祖考府君)의 세거(世居)가 강진과 해남임을 알 수 있다. 중시조(中始祖) 윤광전(光琠)에 관한 탐진(耽津: 전남 강진의 옛 명칭) 감무(監務)의 증명서류가 이를 입증하기에 해남 윤씨(海南尹氏)의 발상지(發祥地)는 강진과 해남이다. 해남 윤씨가 지리지 성씨조에 최초로 나타나는 때는 1760년(영조 36)에 만들어진 「여지도서」이다.

4. 분파

5. 인물

윤복(尹復, 1512년 ~ 1577년)은 1538년(중종 33) 문과에 합격한 뒤 예조정랑, 전라도사,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부안현감, 낙안군수, 광주목사,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윤의중(尹毅中, 1524년 ~ ?)은 1548년(명종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67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후에 이조참판 ·평안도관찰사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동서분당 이후 동인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1589년 정여립의 역모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윤선도(尹善道, 1587년 ~ 1671년)는 윤의중의 손자이며, 어부사시사의 저자이다. 한성서윤, 예조참의, 중추부첨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효종, 현종의 세자 시절 사부였다.

윤두서(尹斗緖, 1668년 ~ 1715년)는 조선 후기 화가이다.

윤돈하(尹敦夏, 1863년 ~ ?)는 조선말기의 문신이다. 고종(광서~광무) 연간에 승지, 가감역관, 장릉 참봉을 거쳐 비서원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에 이르렀으며, 낙향 후 구한말 구국운동에 참여했다.

윤근환(尹勤煥, 1929년 ~ )은 제3대 농림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윤관(尹錧, 1935년 ~ )은 제12대 대법원장을 역임하였다.

윤내현(尹乃鉉, 1939년 ~ )은 역사학자로, 단국대학교 대학원장,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하버드대학교 인류학과 객원교수, 남북역사학자 공동학술회의 남측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윤재식(尹載植, 1942년 ~ )은 前 대법관이다.

윤영달(尹泳達, 1945년 ~ )은 크라운제과 회장이다.

윤한봉(尹漢琫, 1947년 ~ 2007년)은 민주화 운동가이다.

윤성식(尹聖植, 1953년 ~ )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9C%A4%EC%A0%95%ED%98%9C 윤정혜](1954년 ~ )는 前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영일(尹泳一, 1957년 ~ )은 제20대 국회의원이다.

윤준(尹駿, 1961년 ~ )은 제34대 수원지방법원장이다.

5. 1. 고려

윤복(尹復, 1512년 ~ 1577년)은 1538년(중종 33) 문과에 합격한 뒤 예조정랑, 전라도사,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부안현감, 낙안군수, 광주목사,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윤의중(尹毅中, 1524년 ~ ?)은 1548년(명종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67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후에 이조참판 ·평안도관찰사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동서분당 이후 동인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1589년 정여립의 역모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윤선도(尹善道, 1587년 ~ 1671년)는 윤의중의 손자이며, 어부사시사의 저자이다. 한성서윤, 예조참의, 중추부첨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효종, 현종의 세자 시절 사부이다.

윤두서(尹斗緖, 1668년 ~ 1715년)는 조선 후기 화가이다.

윤돈하(尹敦夏, 1863년 ~ ?)는 조선말기의 문신이다. 고종(광서~광무) 연간에 승지, 가감역관, 장릉 참봉을 거쳐 비서원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에 이르렀으며, 낙향 후 구한말 구국운동에 참여했다.

윤근환(尹勤煥, 1929년 ~ )은 제3대 농림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윤관(尹錧, 1935년 ~ )은 제12대 대법원장을 역임하였다.

윤내현(尹乃鉉, 1939년 ~ )은 역사학자로, 단국대학교 대학원장,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하버드대학교 인류학과 객원교수, 남북역사학자 공동학술회의 남측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윤재식(尹載植, 1942년 ~ )은 前 대법관이다.

윤영달(尹泳達, 1945년 ~ )은 크라운제과 회장이다.

윤한봉(尹漢琫, 1947년 ~ 2007년)은 민주화 운동가이다.

윤성식(尹聖植, 1953년 ~ )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9C%A4%EC%A0%95%ED%98%9C 윤정혜](1954년 ~ )는 前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영일(尹泳一, 1957년 ~ )은 제20대 국회의원이다.

윤준(尹駿, 1961년 ~ )은 제34대 수원지방법원장이다.

5. 2. 조선

윤복(1512년 ~ 1577년)은 1538년(중종 33) 문과에 합격한 뒤 예조정랑, 전라도사,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부안현감, 낙안군수, 광주목사,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윤의중(1524년 ~ ?)은 1548년(명종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67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후에 이조참판 ·평안도관찰사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동서분당 이후 동인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1589년 정여립의 역모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윤선도(1587년 ~ 1671년)는 윤의중의 손자이며, 어부사시사의 저자이다. 한성서윤, 예조참의, 중추부첨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효종, 현종의 세자 시절 사부였다. 윤두서(1668년 ~ 1715년)는 조선 후기 화가이다. 윤돈하(1863년 ~ ?)는 조선말기의 문신으로, 고종(광서~광무) 연간에 승지, 가감역관, 장릉 참봉을 거쳐 비서원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에 이르렀다. 낙향 후 구한말 구국운동에 참여했다.

5. 3. 근현대

조선 후기 화가 윤두서(1668년 ~ 1715년)가 있다. 윤돈하(1863년 ~ ?)는 조선말기의 문신으로, 고종(광서~광무) 연간에 승지, 가감역관, 장릉 참봉을 거쳐 비서원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에 이르렀으며, 낙향 후 구한말 구국운동에 참여했다.

대한민국윤근환(1929년 ~ )은 제3대 농림수산부 장관을 역임했다. 윤관(1935년 ~ )은 제12대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윤내현(1939년 ~ )은 역사학자로 단국대학교 대학원장,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하버드대학교 인류학과 객원교수, 남북역사학자 공동학술회의 남측단장 등을 역임했다. 윤재식(1942년 ~ )은 前 대법관을 역임했다. 윤영달(1945년 ~ )은 크라운제과 회장이다. 민주화 운동가 윤한봉(1947년 ~ 2007년)이 있다. 윤성식(1953년 ~ )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9C%A4%EC%A0%95%ED%98%9C 윤정혜](1954년 ~ )는 前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영일(1957년 ~ )은 제20대 국회의원이다. 윤준(1961년 ~ )은 제34대 수원지방법원장이다.

6. 과거 급제자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13명, 생원시 합격자 22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 윤광계(尹光啓)
  • 윤구(尹衢)
  • 윤규백(尹奎白)
  • 윤덕우(尹德雨)
  • 윤돈하(尹敦夏)
  • 윤복(尹復)
  • 윤서유(尹書有)
  • 윤선도(尹善道)
  • 윤유기(尹惟幾)
  • 윤의중(尹毅中)
  • 윤이후(尹爾厚)
  • 윤인미(尹仁美)
  • 윤주선(尹柱善)
  • 윤지눌(尹持訥)
  • 윤지범(尹持範)
  • 윤지승(尹持昇)
  • 윤필(尹珌)
  • 윤행(尹行)
  • 윤홍중(尹弘中)
  • 윤효관(尹孝寬)


;무과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다.

  • 윤덕상(尹德相)
  • 윤상은(尹相殷)
  • 윤승국(尹承國)
  • 윤승업(尹承業)
  • 윤웅(尹雄)
  • 윤인철(尹仁哲)
  • 윤정의(尹廷義)
  • 윤지상(尹之商)
  • 윤징미(尹徵美)
  • 윤충원(尹忠元)
  • 윤택(尹宅)
  • 윤효국(尹孝國)
  • 윤희공(尹希恭)


;생원시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22명을 배출하였다.

  • 윤광계(尹光啓)
  • 윤구(尹衢)
  • 윤권호(尹權浩)
  • 윤기형(尹機衡)
  • 윤기호(尹棋鎬)
  • 윤방서(尹邦瑞)
  • 윤복(尹復)
  • 윤사관(尹士寬)
  • 윤유기(尹唯幾)
  • 윤유심(尹唯深)
  • 윤은서(尹殷緖)
  • 윤이후(尹爾厚)
  • 윤인미(尹仁美)
  • 윤재도(尹載道)
  • 윤종걸(尹鍾杰)
  • 윤종서(尹宗緖)
  • 윤지충(尹持忠)
  • 윤항(尹衖)
  • 윤항서(尹恒緖)
  • 윤홍중(尹弘中)
  • 윤효정(尹孝貞)
  • 윤흥서(尹興緖)


;진사시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진사시 합격자 24명을 배출하였다.

  • 윤광옥(尹光沃)
  • 윤구(尹衢)
  • 윤기장(尹機章)
  • 윤두서(尹斗緖)
  • 윤서(尹㥠)
  • 윤선도(尹善道)
  • 윤시만(尹時萬)
  • 윤영희(尹榮喜)
  • 윤용(尹愹)
  • 윤유겸(尹唯謙)
  • 윤의미(尹義美)
  • 윤의중(尹毅中)
  • 윤이칙(尹爾侙)
  • 윤작(尹綽)
  • 윤적(尹績)
  • 윤종대(尹鍾岱)
  • 윤종민(尹鍾敏)
  • 윤종영(尹鍾英)
  • 윤종진(尹鍾軫)
  • 윤주관(尹柱瓘)
  • 윤취서(尹就緖)
  • 윤홍중(尹弘中)
  • 윤희온(尹希溫)
  • 윤지충(尹持忠)

6. 1. 문과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 윤광계(尹光啓)
  • 윤구(尹衢)
  • 윤규백(尹奎白)
  • 윤덕우(尹德雨)
  • 윤돈하(尹敦夏)
  • 윤복(尹復)
  • 윤서유(尹書有)
  • 윤선도(尹善道)
  • 윤유기(尹惟幾)
  • 윤의중(尹毅中)
  • 윤이후(尹爾厚)
  • 윤인미(尹仁美)
  • 윤주선(尹柱善)
  • 윤지눌(尹持訥)
  • 윤지범(尹持範)
  • 윤지승(尹持昇)
  • 윤필(尹珌)
  • 윤행(尹行)
  • 윤홍중(尹弘中)
  • 윤효관(尹孝寬)

6. 2. 무과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다.

  • 윤덕상(尹德相)
  • 윤상은(尹相殷)
  • 윤승국(尹承國)
  • 윤승업(尹承業)
  • 윤웅(尹雄)
  • 윤인철(尹仁哲)
  • 윤정의(尹廷義)
  • 윤지상(尹之商)
  • 윤징미(尹徵美)
  • 윤충원(尹忠元)
  • 윤택(尹宅)
  • 윤효국(尹孝國)
  • 윤희공(尹希恭)

6. 3. 생원시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22명을 배출하였다.

  • 윤광계(尹光啓)
  • 윤구(尹衢)
  • 윤권호(尹權浩)
  • 윤기형(尹機衡)
  • 윤기호(尹棋鎬)
  • 윤방서(尹邦瑞)
  • 윤복(尹復)
  • 윤사관(尹士寬)
  • 윤유기(尹唯幾)
  • 윤유심(尹唯深)
  • 윤은서(尹殷緖)
  • 윤이후(尹爾厚)
  • 윤인미(尹仁美)
  • 윤재도(尹載道)
  • 윤종걸(尹鍾杰)
  • 윤종서(尹宗緖)
  • 윤지충(尹持忠)
  • 윤항(尹衖)
  • 윤항서(尹恒緖)
  • 윤홍중(尹弘中)
  • 윤효정(尹孝貞)
  • 윤흥서(尹興緖)

6. 4. 진사시

해남 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13명, 생원시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윤광옥(尹光沃)윤구(尹衢)윤기장(尹機章)윤두서(尹斗緖)윤서(尹㥠)
윤선도(尹善道)윤시만(尹時萬)윤영희(尹榮喜)윤용(尹愹)윤유겸(尹唯謙)
윤의미(尹義美)윤의중(尹毅中)윤이칙(尹爾侙)윤작(尹綽)윤적(尹績)
윤종대(尹鍾岱)윤종민(尹鍾敏)윤종영(尹鍾英)윤종진(尹鍾軫)윤주관(尹柱瓘)
윤취서(尹就緖)윤홍중(尹弘中)윤희온(尹希溫)윤지충(尹持忠)


7. 항렬자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지(持)
규(奎)
종(鍾)口호(浩)주(柱)口하(夏)재(在)口현(鉉)영(泳)
순(淳)
口상(相)
口식(植)
병(炳)口배(培)용(鎔)口수(洙)동(東)口환(煥)기(基)口탁(鐸)해(海)口식(植)덕(德)


8. 집성촌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강진군 강진읍 춘전리,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해남군 화산면 시목리 및 율동리,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강진군 대구면 수동리, 강진군 도암면 덕정동, 지석리, 만덕리, 계라리, 항촌리, 강진군 군동면 화산리, 강진군 마량면 영동리, 해남군 북일면 금당리 등에 해남 윤씨 집성촌이 있다.

9. 문화재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과 해남윤씨 족보 목판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